OS RHEL9.6 에서 High Availability 구성 하기 - part 1 : Repository 구성 및 패키지 설치
페이지 정보
작성자 OSworker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0건 조회 33회 좋아요 0회 작성일 25-07-28 18:13본문
안녕하세요
이번 글에서는 "RHEL9.6 에서 High Availability 구성 하기 - part 1 : Repository 구성 및 패키지 설치" 주제로 설명하려합니다.
이번이 part1 이고 두번째에서는 ""RHEL9.6 에서 High Availability 구성 하기 - part 2 : 클러스터 구성 및 리소스 등록 " 입니다.
1. 환경
- Host server : RHEL9.6 KVM
node1: rhel96ha01
node2: rhel96ha02
Fence 는 VBMC 사용
2. Repository 구성
- RHEL 8부터는 기본 ISO파일에 HA 패키지가 없습니다. 그래서 사이트에서 OS iso 와 HA iso를 받아야합니다.
. 아래와 같이 HA iso 을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. - 버전 선택 필수
### 이미지 1 (추후 업로드예정)
### 이미지 2 (추후 업로드예정)
- Repository 구성
1) 이미지 마운트
[root@rhel96ha01 ~]# mount /root/rhel-9.6-x86_64-dvd.iso /iso/
mount: /iso: WARNING: source write-protected, mounted read-only.
[root@rhel96ha01 ~]# mount /root/rhel-highavailability-9.6-x86_64-dvd.iso /ha/
mount: /ha: WARNING: source write-protected, mounted read-only.
[root@rhel96ha01 ~]# df -hP
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
devtmpfs 4.0M 0 4.0M 0% /dev
tmpfs 2.0G 24K 2.0G 1% /dev/shm
tmpfs 783M 9.3M 774M 2% /run
/dev/mapper/rhel_rhel96ha01-root 26G 17G 9.1G 66% /
/dev/vda1 960M 329M 632M 35% /boot
tmpfs 392M 52K 392M 1% /run/user/42
tmpfs 392M 36K 392M 1% /run/user/0
/dev/loop0 12G 12G 0 100% /iso
/dev/loop1 13M 13M 0 100% /ha
2) Repository 설정
[root@rhel96ha01 ~]# cat /etc/yum.repos.d/local.repo
[APPstream]
name=APPStream
baseurl=file:///iso/AppStream/
enabled=1
gpgcheck=0
[BaseOS]
name=BaseOS
baseurl=file:///iso/BaseOS/
enabled=1
gpgcheck=0
[pacemaker]
name=HA
baseurl=file:///ha/
enabled=1
gpgcheck=0
[root@rhel96ha01 ~]# yum repolist
Updating Subscription Management repositories.
Unable to read consumer identity
This system is not registered with an entitlement server. You can use "rhc" or "subscription-manager" to register. <-- 이메세지는 무시해도됩니다.
repo id repo name
APPstream APPStream
BaseOS BaseOS
pacemaker HA
[root@rhel96ha01 ~]#
- 이렇게 해야 HA 곧 pacemaker를 설치 할 수 있습니다.
> Pacemake 관련 패키지 설치
1) 1번, 2번 서버 모두 실행
# yum install pcs pacemaker fence-agents-all initscripts
여기서 initscripts 는 RHEL6 버전까지 사용했던 init.d 입니다. 이것은 LSB 형식 으로 APP를 등록할때
필요합니다. OCFS로 등록시에는 필요없지만 대부분 APP들이 스크립트 형식으로 제공 받기때문에
/etc/init.d/ 밑에 놔둬야 하기에 이 패키지가 필요합니다.
오늘은 이렇게 " iso 다운로드 -> iso 마운트 -> Repository 설정 -> Pacemaker 관련 패키지 설치" 을 설명했습니다.
다음회차에는 클러스터 구성 및 리소스 등록을 알아보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